반응형
디스크에 대한 섹터
기존의 하드는 1섹터당 512byte로 되어있어 하드 디스크에 접근하는 측의 서버, 하드웨어, OS등은
512바이트의 섹터 크기로 설계 되어있다.
하지만 점차 디스크 용량이 커지며 단점들이 보이는데 이를 완화 시키키는 방법이
4KB 섹터를 사용하는것 이다.
일단 대용량에 디스크에 섹터 사이즈가 커지게 되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고
부가 정보가 차지하는 비율을 줄이고 기록 영역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
4K는 기존에 설계 되어 있는 512방식에 대한 하드디스크에 내장된 컨트롤러가 논리적으로
512바이트 섹터들을 에뮬레이션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512바이트논리 섹터들이 8개 모여 4K섹터가됨)
때문에 기본적으로 파티션의 시작 지점과 사이즈는 논리 섹터 수로 생각한 8의 배수로 준비 해두는것이 좋다.
---------------
파일 시스템의 블록사이즈
Linux에서 파일 시스템의 블록사이즈로 1024바이트 2024바이트 4096바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디폴트 블록사이즈 변경은 /etc/mke2fs.conf에 저장 되어있다.|
앞서 설명했던 디스크의 4K섹터의 경우
파티션 시작위치를 4KB 섹터의 앞부분에 갖추고 블록사이즈도 4KB로 하는게 좋다.
그 이유는 파티션의 시작 지점이 4K블럭과 4K섹터가
똑같이 1블록 접근에 대해 1섹터 가 반응하는데
이것이 어긋날 경우 동작할 때 큰 퍼포먼스 낭비가 이뤄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