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23

초간단 NFS 서버 만들기

NFS 서버 구축하기 yum install nfs-utils systemctl enable nfs-server systemctl start nfs-server vim /etc/exports 의 설정 파일을 해줘야함 /[원하는 공유될 디랙터리] 원하는IP*(원하는 권한) 예시 /data *(rw) exportfs -r 반영하기 방화벽 허가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nfs firewall-cmd –reload 공유 확인 showmount -e exportfs -v 대표적 안 될 경우 : iptables 나 각종 방화벽 설정을 확인해보자. 해당 공유 디랙터리가 777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클라이언트 측에선 mount.nfs IP주소[호스트이름가능]:/디랙터리 /마운트..

리눅스 2021.02.12

uptime 평균 부하 값

Load Average 평균 부하의 값이 다. Uptime 으로 확인이 가능함 21:22:35 up 1 day, 2:26, 3 users, load average: 0.58, 1.16, 1.29 Load average : 이 후에 나오는 것들은 1분 5분 15분 동안 실행/대기중인 PS 평균 개수 이 수치는 CPU core에 따라 다르지만 높으면 높을 수록 부하가 많이 걸린다는 뜻임 추적해서 찾아 내는 법 Uptime의 디버깅 코드를 추출해 낸다. strace의 사용방법 -strace [사용명령어] : 바이너리를 추적할 수 있음 #strace -e [시스템 콜] [사용명령어] : strace 에 주어진 바이너리의 시스템에 특정 콜을 보여줌 #strace -o [파일이름] [사용명령어] : 해당 파일에 저..

리눅스 2021.02.12

메모리 누수 확인

메모리 누수 확인 방법 예시 free명령을 입력하면 20G 메모리 사용중인데 ps명령을 통해 ps메모리 값들에 합이 20G이 안될 때 /proc/meminfo 결과 에서 Slab 영역을 확인한다. 이부분의 크기가 비약적으로 클 때 확인을 해보자 캐쉬 초기화 방법 echo 2 > /proc/sys/vm/drop_cached slabtop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혹은 slabtop -o 를 통해 확인 간단 확인 스크립트 bash shell 스크립트 예제 #!/bin/bash echo "Memory Leak Check script" memfree=`free | awk '{print $3}' |head -n2|tail -n+2` meminfo=`cat /proc/meminfo |grep -i slab|awk ..

리눅스 2021.02.12

Samba에 ln 심볼릭 링크 적용

목표 : 비일비재 하게 일어나는 공유 폴더 권한으로 컨텐츠 보안에 위협성이 있으므로 보다 유연하고 안전하게 공유를 하자. 무작정 새로운 samba공유 디렉토리를 만들자 이는 관리가 어려울 뿐더러 많은 문제점을 담고 있다 (예 : 권한 관련 이슈사항, 스케줄링의 과다 이용으로 인한 자원낭비, 관리에 취약성, 하드 할당량 문제 등) 1번의 문제를 보완하고자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기로 했음 이로 인해 얻어질 기대 사항 : 관리에 용의함, 권한 이슈사항 완화, 빠른 추가, 하드 할당량 완화 등 문제점 1 기본적인 설정으론 삼바에선 심볼릭 링크를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하지만 global에 몇가지 사항만 추가하면 이를 해결할 방법이 있다. [global] follow symlinks = yes wide links = ..

리눅스 2021.02.12

DNS 설정

DNS 그림 설명 처음엔 Bind 패키지 설치해줌 yum -y install bind* 이후 # vim /etc/sysconfig/network 에 가서 설정을 해줌 HOSTNAME=localhost.localdomain GATEWAY=DNS1아이피(자신) /etc/sysconfig/network-scrtips/파일명 에 가서 DNS1=자신의 IP 를 설정해준다. 확인은 DNS 설정 인 /etc/resolv.conf 에서 가능함 아마 자동으로 바뀌어 있을거임 그다음 IP에게 DNS 쿼리를 허용할 것인지 설정해주는 파일 #vim /etc/named.conf 그다음 master/slave 등 설정하는 파일에서 수정해준다. #vim /etc/named.rfc1912.zones 위와 같이 설정해준다 test.c..

리눅스 2021.02.12

Samba 서버 buff/cache 메모리에 대해

samba 서버 사용중 묘하게 버퍼 케시 메모리가 높게 나와서 의야해 했다. 처음엔 메모리가 부족해서 그런가? 싶어서 증설하였으나 똑같은 증상을 보였다. 여유 있는 메모리들이 얼마 없어서 메모리 증설을 하였으나 자원이 들어오는 족족 buff/cache 에 맵핑 되는걸 확인 할 수 있었다. 단순히 메모리의 문제인가 아니면 buff/cache 의 문제인가 잘 몰라서 알아보도록 하자. buff/cache는 뭘까? 일단 buff란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이 아니고 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해 커널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역! 이다 cache는 페이지 캐시라 불리는 캐시 영역에 있는 메모리 양을 위미한다 I/O관련 작업을 더 빠르게 진행 하기 위해 커널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역이다. 자 그러면 사용자 확인을 해보자 ..

리눅스 2020.11.26

(9)Linux에서 유저 메모리와 커널 메모리

유저 메모리 tmpfs 는 물리 메모리를 사용한 RAM 디스크 기능을 제공한다. tmpfs 는 파일 시스템으로서 마운트하면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과 같은 파일의 읽기 쓰기가 가능 하지만 파일은 서버의 하드에 저장됨 tmpfs에 파일을 저장하면 시스템은 파일을 우선 디스크 캐시에 저장하게된다 이것이 Shmem 이며 디스크 캐시를 의미하는 buffer+cached로 분류됨 하지만 이것에 대응하는 물리디스크의 영역은 없으므로 File-bached 메모리가 아니라 Anonymous(Active[anon] + inactive[anon]) 메모리의 LRU리스트에 등록된다. 이것이 File-backed 메모리의 합계와 buffer+cached 값의 차이가 된다. tmpfs가 사용하는 메모리가 Shmem인 이유는 리눅스..

리눅스 2020.09.23

(2) Linux에서 디스크 확인과 구조

디스크 확인 명령어 fdisk -l 위와 같이 /dev/sda1 밑에 파티션 1은 실린더 경계에서 종료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뜬다 이 이유가 뭘까 위에 fdisk -l 커멘드를 입력하면 2번째 줄에 255해더 , 63 섹터, 2610 실린더라고 나오는데 즉 1장의 디스크는 2610개의 트랙으로 분할 되어있음 을 알 수 있다. 또한 255개나 되는 헤드를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할 리 없다. 디스크 장치의 실린더C, 헤드H 섹터S의 종합정보를 CHS 라고 부른다 하지만 fdisk 커멘드에서는 이 CHS 구조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 이를 이해 하기 위해선 CHS방식과 LBA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지만 현제 하드 디스크는 LBA(Logical Block Addressing) 방식으로 접근하는게 보통..

리눅스 2020.09.18

(1) Linux 사용 서버의 기초 확인 방법

서버의 상태 파악의 기초적 명령어 df, ps, free (하드,프로세스,메모리) df 명령어 -파일 시스템의 남은 용량을 파악하는 데 사용 -디스크 파티션의 구성과 데이터 배치 상황을 알 수 있다. 첫번째 : 파일시스템 위치 두번째 : 1K 블럭 기준 갯 수 세번째 : 1K 기준 사용 블럭 네번째 : 1K 기준 사용 가능한 블럭 다섯번째 : 사용중인 용량을 퍼센트 여섯번째 : 마운트된 위치 ps -aux 명령어 -가동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 가능 첫번째 : ps 실행 사용자 두번째 : PID 넘버 세번째 : CPU 사용량 네번째 : 메모리 사용량 다섯번째 : 가상 메모리 사용량 여섯번째 : RAM에 있는 메모리 용량 일곱번째 : 프로세스 상태 여덜번째 : 프로세스 시작 시간 아홉번째 : 프로세..

리눅스 2020.09.18

PXE server 구축 (pxe 서버 구축)

PXE Server 구축 하기 ====목차==== 0. PXE-server 스팩 1. 설치 OS 2. 디스크 구성 3. DHCP 설정 4. TFTP 설정 0. PXE-server 스팩 서버 CPU MEM SSD SATA HBA SP7-2104GS E5-2620v4 16GB ddr4 240GB 2TB 3008IR 1. 설치 OS : 7.6 2. 디스크 구성 4. DHCP 설정 설치 방법 : yum install dhcpd* 구성 방법 : cd /etc/dhcp/dhcpd.conf 기존에 있던 설정 파일을 옮길 경우 퍼미션 관련 장애 발생 /sbin/restorecon –v /etc/dhcp/dhcpd.conf 등록해준다 service dhcpd start ddns-update-style 네임 서버의 동적 ..

리눅스 2020.08.29
반응형